사범대학, 일반대학 교육과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5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50) | 1.2.1 교원확보의 적절성(1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3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5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50) | 1.3.1.1 교육비(장학금 등) 환원율 | |
1.3.1.2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|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 |||
2.교육과정 영역 (50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7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7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노력 | |
3개 영역 (1,000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6개 지표 |
일반대학 교직과정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35점) |
1.2 교원(20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30) | 1.2.1.3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3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30) | 1.3.1.2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
1.4 수업환경(5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5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2.교육과정 영역 (495점) |
2.1 교육과정(14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4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8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85) | 2.3.1.1 교직 적격자 선발을 위한 노력 | |
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|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880점) |
10개 항목 | 12개 준거 | 23개 지표 |
교육대학원(양성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5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3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5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50) | 1.3.1.1 교육비(장학금 등) 환원율 | |
1.3.1.2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|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 |||
2.교육과정 영역 (500점) |
2.1 교육과정(18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8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4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의 적절성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5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50) | 2.3.1.1 교직 적격자 선발을 위한 노력 | |
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|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1,000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8개 지표 |
교육대학원(재교육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15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2 전공개설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(장학금 등) 환원율 | |
1.4 수업환경(5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5) | 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 |
2.교육과정 영역 (385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6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6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6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65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3.성과 영역 (8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률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40) | 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680점) |
10개 항목 | 11개 준거 | 17개 지표 |
교육대학교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0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3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6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 |||
2.교육과정 영역 (550점) |
2.1 교육과정(19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9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a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2b 교양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9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9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노력 | |
3개 영역 (1,000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5개 지표 |
교육대학원(재교육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1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2 전공개설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(장학금 등) 환원율 | |
2.교육과정 영역 (38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6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6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6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6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3.성과 영역 (8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률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40) | 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670점) |
9개 항목 | 10개 준거 | 16개 지표 |
사범대학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2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3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
|||
2.교육과정 영역 (530점) |
2.1 교육과정(18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8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a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2b 교양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8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8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노력 | |
3개 영역 (1,000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6개 지표 |
일반대학원(양성 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2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3 교과교육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
|||
2.교육과정 영역 (515점) |
2.1 교육과정(18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8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a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4 일반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의 적절성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6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65) | 2.3.1.1 교직 적격자 선발을 위한 노력 | |
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|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985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7개 지표 |
일반대학원(재교육 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1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2 전공개설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2.교육과정 영역 (38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2a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6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6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6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6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3.성과 영역 (8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40) | 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670점) |
9개 항목 | 10개 준거 | 16개 지표 |
교육대학원(재교육기능)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1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5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2 전공개설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2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2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2.교육과정 영역 (38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2a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6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6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6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6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학생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3.성과 영역 (8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률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40) | 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670점) |
9개 항목 | 10개 준거 | 16개 지표 |
유아교육과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35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250) | 1.2.1 교원확보의 적절성(180) | 1.2.1.1 전공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2 전공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7 교육기관 또는 전공관련기관(산업체) 근무경력을 가진 전공과목 전임교원 비율 |
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5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50) | 1.3.1.1 교육비 환원율 | |
1.3.1.2 등록금 대비 장학금 비율 | |||
1.3.1.3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|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
|||
2.교육과정 영역 (50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70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70) | 2.3.1.2 학생지도체제 구축 및 운영 실적 | |
2.3.1.3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노력 | |
3개 영역 (1,000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8개 지표 |
유치원 교사 양성학과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7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90) | 1.2.1 교원확보의 적절성(120) | 1.2.1.2 전공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
1.2.1.4 교과교육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7 교육기관 또는 전공관련기관(산업체) 근무경력을 가진 전공과목 전임교원 비율 |
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3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30) | 1.3.1.3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
1.4 수업환경(10) | 1.4.1 수업환경의 적절성(10) | 1.4.1.1 시설 활용의 적절성 | |
1.4.1.2 장애학생 선발 비율 및 장애학생에 대한 지원 노력 |
|||
2.교육과정 영역 (445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2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2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3. 학생 수업 역량 제고 노력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1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15) | 2.3.1.1 교직 적격자 선발을 위한 노력 | |
2.3.1.3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 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865점) |
11개 항목 | 13개 준거 | 25개 지표 |
보건교사 양성학과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4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7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100) | 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7 교육기관 또는 전공관련기관(산업체) 근무경력을 가진 전공과목 전임교원 비율 |
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3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30) | 1.3.1.3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
2.교육과정 영역 (500점) |
2.1 교육과정(16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16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2 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6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6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2.1.4 교수자 역량 개발의 충실성 | |||
2.3 학생(1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15) | 2.3.1.1 교직 적격자 선발을 위한 노력 | |
2.3.1.3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||
2.4 교육실습(70) | 2.4.1 교육실습 운영의 체계성(70) | 2.4.1.1 교육실습체제 운영 실적 및 개선 노력 | |
3.성과 영역 (15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율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110) | 3.2.1 교원임용 및 취업 성과(70) | 3.2.1.1 교원임용률 및 관련 분야 취업률 | |
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795점) |
11개 항목 | 12개 준거 | 20개 지표 |
실기교사 양성학과
영역 | 진단항목 | 진단준거 | 진단지표 |
---|---|---|---|
1.교육여건 영역 (200점) |
1.1 발전계획(40) | 1.1.1 발전계획의 적합성(40) | 1.1.1.1 발전계획(특성화 포함) |
1.2 교원(130) | 1.2.1 교원 확보의 적절성(80) | 1.2.1.2 전공개설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
1.2.1.5 교직이론과목 전임교원 확보율 | |||
1.2.1.6 교직이론과목 교수자 전공 일치도 | |||
1.2.1.7 교육기관 또는 전공관련기관(산업체) 근무경력을 가진 전공과목 전임교원 비율 |
|||
1.2.2 전임교원 활동의 적절성(70) | 1.2.2.1 전임교원 연구실적 최소기준 충족률 | ||
1.2.2.2 강의 만족도 및 강의평가 운영의 적절성 | |||
1.3 행·재정(30) | 1.3.1 행·재정운영의 적절성(30) | 1.3.1.3 행정지원의 충실성 | |
2.교육과정 영역 (175점) |
2.1 교육과정(70) | 2.1.1 교육과정 편성·운영의 적절성(70) | 2.1.1.1 교원자격 취득자의 검정기준 충족 |
2.1.1.3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실적 및 개선 계획 | |||
2.2 수업(100) | 2.2.1 수업의 충실성(100) | 2.2.1.1 수업 규모의 적절성 | |
2.2.1.2 수업 운영의 현장성 | |||
2.3 학생(5) | 2.3.1 학생 선발 및 지도의 적절성(5) | 2.3.1.3 성폭력·성희롱 예방교육 실적 | |
3.성과 영역 (80점) |
3.1 운영성과(30) | 3.1.1 학생유지 성과(30) | 3.1.1.1 신입생 충원률 및 중도탈락 학생비율 |
3.2 교육성과(40) | 3.2.2 교육만족도(40) | 3.2.2.1 재학생 만족도 | |
3.3 환류성과(10) | 3.3.1 환류노력(10) | 3.3.1.1 환류 노력 | |
3개 영역 (455점) |
9개 항목 | 10개 준거 | 16개 지표 |